주택담보대출 대출방식에 따른 금리
주택담보대출 대출방식에 따른 금리는 고정 금리 및 변동 금리가 있습니다. 이러한 고정금리, 변동금리를 산정할 때에는
금융채 6개월 및 5년 mor을 기준으로 하고 각 은행마다 이 mor수치에 가산금리를 추가해서 최종 고정금리 및 변동금리를 산정합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융채 6개월과 5년 mor의 변동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주택담보대출
주택담보대출이란 아파트 등 주택을 담보로 받는 대출을 의미하고, 주택담보대출의 금리 산정은 코픽스(cofix) 금리 또는
금융채 6개월, 1년, 3년, 5년을 연동해서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를 산정합니다.
코픽스
코픽스란 9개의 시중은행이 수신상품 판매 시 제공하는 금리의 평균 값 입니다. 즉 고객에게 받은 자금을 대출 재원으로 사용하니 고객에게 주는 이자가 판매원가란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금융채
금융채는 금융회사가 자금융통을 위해 발행한 채권이고 민간채입니다. 여러 가지가 있지만 금융채/무보증/AAA를 실무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금융채 조회방법
금융채를 조회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인터넷 포털에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를 검색합니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kofiabond.or.kr)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들어가서 상단메뉴에서 시장 평가 메뉴로 들어가게 되면 있습니다. 이 카테고리로 들어가게 되면 일자별 및 기간별로 검색이 가능한데 원하는 카테고리를 설정한 후 채권 종류에서
금융채 I(은행채) / 무보증 / AAA를 선택하고 우측 메뉴는 원하는 기간을 선택하면 됩니다.(3개월, 6개월, 1년, 5년 등)
조회를 하게 되면 해당 기간의 금융채가 조회되며 민평 평균에서 대출을 받으려는 은행의 가산금리를 더한 수치가 은행에서 받는 대출의 최종 금리가 됩니다. 최종금리 산정은 대출이 실행되는 일자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ex) 23.01.27. 대출실행 / 4.084(5년 mor) + 0.5(은행 가산금리) -> 최종 대출금리 4.584%
기준금리
기준금리는 대한민국의 금리체계의 기준이 되는 중심 금리이며 한국은행의 최고 결정기구인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매달 회의를 통해서 결정하는 금리입니다. 기준금리는 인터넷 포털에서 검색을 하면 쉽게 알 수 있으며, 사진을 보면 알수 있듯이 다른 나라의 기준금리 또한 쉽게 조회할 수가 있습니다.
대한민국 기준금리
대한민국의 기준금리는 현재 3.00p로 10월 12일 빅 스텝(0.5p)을 발표 한 이후로 변동이 없습니다. 이번 달 11월 24일에 기준금리 인상을 발표할 것으로 확실시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서 대출 및 적금, 예금금리 또한 올라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 기준금리
미국의 기준금리는 23년 2월 2일 0.25p를 인상해서 현재 4.75p로 대한민국의 기준금리보다 2.25p나 높은 상황입니다.
미국 연준에서는 앞으로 금리인상을 더 한다고 시사하고 있으므로 5.00p가 넘는 금리까지는 예상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동추이
2008년 이후 한국은행 기준금리의 변동 추이입니다. 2008년 미국의 금융위기가 있었으며 아래 그래프를 보면 현재 대한민국의 2022년 금리가 엄청나게 가파르게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2023년은 아마 엄청난 경기 침체가 예상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광새마을금고 고금리 예금 - 9개월 연이율 7% / 22.11.08.(화) ~ (0) | 2022.11.08 |
---|---|
저축은행 고금리 파킹통장 겸 예금통장 - 연이율 4.5% (0) | 2022.11.07 |
북성신협 고금리 특판 적금 - 연이율 8.4% / 2022.10.24.(월) 00:00~ 모바일x, pc 인터넷뱅킹으로 가입해야 가입됩니다. (0) | 2022.10.24 |
웰컴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인상 - 2022.10.19.(수) 부터 (0) | 2022.10.18 |
SB톡톡 저축은행 어플 가입방법 - 저축은행 예금가입 필수 (0) | 2022.10.17 |